
이번 글에서는 "주택의 침실 및 거실"을 설계할 때 유의해야 할 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침실 설계 시 유의사항 침실(bedroom)은 취침과 휴식의 생활공간으로써 밤의 생활공간에 속합니다. 따라서 마음 편하게 잠을 자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여야 합니다. 여기에 더해서 지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곳, 개인적인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좋습니다. 침실의 위치는 사생활의 확립과 독립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곳에 위치해야 하는 것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이 가장 적은 곳에 위치해야 합니다. 욕실, 드레스룸과는 되도록이면 가까울수록 좋습니다. 현관에서 좀 떨어진 곳에 배치되는 것이 동선의 단순화나 안정성, 독립성 확보에도 좋습니다. 도로 쪽을 가급적 피하고 정원 쪽의 공지에 면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..

이번 글에서는 지난 글에 이어서 "건축입면 형태의 유형 분류" 두 번째 이야기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그 요소로 재료의 유형, 벽면부 형태의 유형에 따라 건축 입면 유형을 살펴보겠습니다. 4. 재료의 유형에 따라① 적벽돌 : 적벽돌은 오랫동안 인류와 함께 해 온 건축재료로써 사람들에게 친근감과 안락감을 주는 재료입니다. 적벽돌 자체로써 조적식 구조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② 타일 : 타일은 다른 재료에 비해 내수성의 특징을 가진 건축재료입니다. 따라서 내구성, 내약품성 등의 양호합니다. 또한 색채와 문양에 있어서 비교적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합니다. 적절한 광택이 있고, 변색이 잘 되지 않으므로, 좋은 디테일로 시공한다면 우수한 건축재료가 될 수 있습니다. ③ 알루미늄 복합 패널 ..

이번 글에서는 오피스, 상가와 같은 도시 건축물들의 "건축 입면 형태의 유형 분류"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건축 입면 형태의 유형 분류 입면, 즉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"면"은 ①공간을 한정하는 역할 ② 구조체의 역할 ③형태를 표현하기 위한 외관으로서의 역할 ④ 중립적인 바탕면의 역할 등이 있습니다. 이렇듯 "면"이란 공간을 분절하는 물체로만 한정되지 않습니다. 건축 입면을 이루는 "면"은 건축과 도시가 만나는 접점이 되기 때문에, 입면에 대한 의식은 곧 건축론과 도시론이 만나는 의식과도 관계됩니다. 나아가 건축의 입면 형태가 도시의 생활과 결합될 때 그것은 단순한 미학적, 관념적인 논의가 아니라, 건축과 도시가 공유하는 ‘문화의 문제’로 확산되어 나가게 됩니다. 그럼 "건축 입면 형태 유형의..

"근대 건축 이념에 영향을 준 예술 사조". 이번 글에서는 근대 건축에 영향을 준 예술 사조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근대 건축 이념에 "간접적인 영향"을 준 예술 사조로는 사실주의, 인상주의, 야수파, 표현주의 등이 있습니다. 이후 큐비즘, 미래주의, 순수주의, 절대주의, 신조형주의, 초현실주의 등은 근대 건축 이념에 "직접적인 영향"을 주면서 두 분야가 서로 공존하는 예술의 흐름이 되었습니다. 지금부터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근대건축 이념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 예술 사조1. 사실주의 (Realism) : 사실주의는 고전적인 양식으로, 사실적인 미를 추구한 예술 사조입니다. 눈에 비치는 것 그대로 마음으로 느낄 수 있어야 하고, 모든 소재들이 그릴 수 있는 재료가 되었습니다...